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한국사-조선시대 (1) 한국사-조선시대 조선시대는 근대에 해당한다. 조선시대는 전기·후기가 아닌 초기·전기·중기·후기로 나뉘기도 한다. 대략 조선이 건국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이 멸망된 1910년까지를 조선시대라고 하는데 다만, 태조 이성계가 왕으로 즉위하여 조선을 건국한 1392년부터 1393년 3월 27일까지는 조금 전 왕조의 국명인 고려를 국호로 유지했었다. 그리고 1897년에 성립된 대한제국도 왕조 자체는 조선 왕조를 그대로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조선의 연장선상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아주 엄밀하게 말하면 조선시대는 '조선'이라는 국호가 쓰인 1393년부터 1897년까지이나, 일반적으로 한국 사회에서는 이성계가 공양왕을 폐위하고서 본인이 왕위에 올라 전주 이씨 왕조가 성립된 1392년부터 일본 제국에게 강제 병.. 2025. 2. 12.
한국사-고려 한국사-고려  전통 시대의 정치를 역사적으로 살피려면 시대구분에 있어 왕조를 중요한 단위로 삼을 수 있다. ‘한국 중세사’는 한국 시대사의 한 부분으로 흔히 고려(高麗)의 후삼국통일부터 조선이 건국한 1392년까지를 가리킨다. 고려(高麗)는 918년 왕건이 건국한 이후, 1392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에 존재했던 나라이다. 통일신라 하대에 송악(현재의 개성 특별시) 지방의 호족인 왕건이 918년에 고려를 건국하였으며, 그 뒤, 935년 신라, 936년 후백제를 차례대로 복속하였다. 광종은 황권의 안정과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도 등을 시행하고 공신과 호족 세력을 제거하였다. 경종 때는 전시과 제도를 실시하였고, 성종은 지배 체제를 정비하였다(시무 28조). 수도 .. 2025. 2. 12.
한국사(삼국시대) 고대 한국의 고대는 대략 기원전 1세기부터 900년까지의 시기로, 원삼국시대의 크고 작은 국가들이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로 합쳐진 삼국시대에서 고구려와 백제가 멸망한 시기까지를 고대라 말한다.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연맹은 각자 고유의 건국 신화를 가지고 있으며 그 시작을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나 기원전 1세기 무렵부터 주변의 소국을 흡수하여 강대해졌다. 이들 나라는 이렇듯 고조선 사회의 외곽에서 시간적 선후를 지니며 각자 독자적으로 성립했고, 4세기 중반 이후 서로 국경을 접하게 되기 전까지 상당한 기간 서로 별다른 교섭 없이 발전해 나갔다. 삼국시대는 고구려 · 백제 · 신라의 세 나라가 정립하였던 한국사의 한 시기이다.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처럼 한국사 속의 .. 2025. 2. 12.
한국의 역사(선사시대~후삼국시대까지의 고대) 한국의 선사시대는 구석기 시대 후부터 시작되며, 약 70만 년 전에서 청동기 시대까지가 해당한다. 학계에서는 한반도에서 발굴된 유물 및 유적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의 발굴 성과와 연계하여 연구하고 있다. 즉 이때는 글로 기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굴된 유물이나 유적을 통해 당시 시대 상황을 연구하는 것이다. 구석기 시대 약 70만 년 전부터 한반도에 사람들이 정착하여 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덕천군의 승리한 동굴 최하층 유적, 충청북도 단양군 금굴, 평안남도 상원 검은모루 동굴 등에는 기원전 109만년 경의 뗀석기와 동물 뼛조각 유적이 발견되고 있다.  한국의 구석기 시대는 한반도의 선사시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구석기 시대는 대략 70만 년 전부터 약 1만 년 전까지 지속되었으며, 한반도의 초기.. 2025. 2. 12.
한국사의 개념 및 정의 한국사의 개념 및 정의  한국사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전개된 한국의 역사이다. 흔히 한국사를 ‘반만년의 유구한 역사’라고 말하는데 이는 단군신화 나온 대로 고조선의 건국연대인 기원전 2333년을 한국사의 시작으로 삼은 데서 기인한다.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70만 년 전 구석기시대부터였다. 청동기시대에는 권력자가 발생하였고, 철기시대가 되면서 고조선이 가장 먼저 초기국가로서 건국되었다. 삼국시대에는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적인 귀족국가가 형성되었고, 불교를 수용하여 왕권 강화 및 귀족들의 특권 강화를 정당화했다. 삼국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7세기까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서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시기를 일컫는다.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백제와 고구려가.. 2025. 2. 12.
역사학의 개념과 정의 역사학 1. 개념과 정의  역사학(歷史學)은 과거에 일어난 사건, 사상변화, 사상, 문화를 다루는 학문으로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간 활동에 관한 제반 조사, 연구를 이행함으로써 과거 사료를 평가,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진실 밝히는 것이다. 과거를 좀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인간의 활동에 대한 기록을 정확하고 포괄적으로 복원하려는 것이다.  “역사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역사라는 말의 뜻은 인간이 살아온 사회생활 총체로서의 과거를 의미한다. 역사학은 과거에 실제로 무엇이 일어났었는지에서 시작하여 그 후의 사실들을 계기적(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바뀌게 되는 원인 또는 기회가 되는)으로 따져나가는 학문이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 2025. 2. 12.